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48

CSS 선택자 바닐라코딩 HTML CSS Javascript 함께 열심히 공부해보시죠! 같이 해요 굵은 글씨체 박스박스 이것도 적용 child 이것은 적용 안됨? border CSS는 네모 칸을 만들어줌 child CSS의 > 연산자는 직속 자식 요소들만 적용. 손자는 적용 X li태그는 앞에 점 표시 보통 ul 태그 안에 li 태그를 넣어서 순서없는 리스트를 만든다 서브 헤드라인 h1, h2, #box { font family: Arial, Helevetica, sans-serif; color : red; } li{ color: blue; font-size: 20px; } #first{ color: green; font-size: 50px; } .thick{ font-weight: bold; } #nav li{ ba.. 2021. 11. 24.
CSS 기본 문법, 링크 h1{ color: blue; } h1 : '무엇을' 바꾸고싶은지 명령하는 부분 color: -> 지정한 부분을 '어떻게' 바꿀 것인지 명령하는 부분 **HTML에서 h1은 '태그', CSS에서 h1은 '요소'라고 불린다. 용어가 헷갈릴 수 있으니 주의! h1{ color: red; } p, li{ color: blue; font-size: 20px; } h1 요소는 빨간색, p와li 요소는 파란색 20픽셀 크기로. 이렇게 각각 지정이 가능하다. 원하는 요소만 바꾸기 -> id속성 사용 CSS기초 HTML CSS Javascript 열심히 같이 해요 id속성을 이용하면 부분적으로 바꾸기가 가능하다. HTML로 작성하면 HTML은 first id값에 지정되었다. 이를 CSS에서 #first{ color: .. 2021. 11. 19.
HTML 링크 태그에는 href속성을 줄 수 있고 어떤 웹페이지를 링크로 걸고싶은지에 대한 정보를 추가. a 태그는 글씨나 이미지를 감쌀 수 있음 1번 파일로 이동 상대경로 : 같은 파일 시스템 구조 상의 위치를 표현 1번 파일로 이동 2021. 11. 19.
HTML 이미지 추가 태그 사용 태그에는 '속성'을 갖는데 이미지 태그에는 'src' 라고 하는 하나의 속성을 갖음. 이 속성을 이용해서 추가적인 정보나 명령을 받을 수 있음. src 속성은 필수속성. 이미지의 주소를 받음 alt 속성은 이미지가 깨졌을 때 출력되는 메시지를 설정함. width, height 속성은 이미지의 너비와 높이를 결정. px, %, em 등의 단위를 가짐 예시 참고자료 : 이미지 삽입 요소 - HTML: Hypertext Markup Language | MDN (mozilla.org) 2021. 11. 18.
git과 github 입문 우선 git과 github의 차이를 알아야겠다. git은 로컬에서 관리되는 버전관리 시스템(VCS : Version Control System) github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관리되는 버전관리 시스템이다. 요즘 개발자라면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VCS이며 협업에도 유리하다. 처음에는 github자체가 git 인 줄 알고 조금 헤맸지만 잘 설명된 블로그를 보고 따라하였다. git을 설치하면 git bash라는 명령프롬프트(cmd)가 나오는데 리눅스 명령어를 필요로 한다. 따라서 우선은 github Desktop으로 github를 사용하면서 공부내용을 정리 할 예정이다. * branch 기능을 이용하면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사람이 개발하는데 용이하다. ** 코드가 변경/수정되는 부분은 모두 저장되기 때문에 .. 2021. 11. 18.
HTML 입문 모든 웹페이지의 보이는 부분은 HTML로 작성됨 HTML은 '태그' 로 웹페이지를 꾸밀 수 있음 여는태그() - 해당 태그가 적용되길 바라는 텍스트 - 닫는태그() 위의 세가지 요소를 합쳐서 element라고 부름 모든 HTML에 들어가는 태그 : 브라우저에 HTML코드가 해당 태그 내부에 존재함을 알림 : 외부 소스를 참조해야할 때 사용 : 브라우저는 이 태그 안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함 앞으로 사용해야 될 HTML태그들은 아래에서 참조하자 HTML 요소 참고서 - HTML: Hypertext Markup Language | MDN (mozilla.org) 2021. 11. 18.